서버 성능 테스트의 목적은 최대 몇 명의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, 그 결과가 최초 목표한 성능에 부합하는지 알아내기 위해서이다.
1. Throughput : 시간당 처리량으로 TPS(Transaction Per Second), RPS(Request Per Second)등으로 불리며 1초에 처리하는 단위 작업의 수 혹은 1초에 처리하는 HTTP 요청 수 등으로 해석할 수 잇다.
2. Latency : 서비스의 성능을 말할 때 Latency는 서버가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아서 응답을 보내주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. 직역을 하면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는데 발생하는 지연시간
Lactency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의 처리 성능, 애플리케이션 로직, 쿼리 인덱스 등 다양한 원인등을 손봐야한다.
https://hyuntaeknote.tistory.com/10
내가 만든 서비스는 얼마나 많은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을까? - 1편(성능 테스트란?)
개요 Agora 프로젝트를 서버 배포에 성공하고, 서비스가 얼마나 많은 사용자를 감당할 수 있을지 알고 싶어 졌습니다. 이를 위해 성능 테스트를 진행해보았습니다. 이번 포스팅 시리즈는 성능
hyuntaeknote.tistory.com
https://www.slideshare.net/sunnykwak90/ss-44875669
추가공부 필요
서버 성능에 대한 정의와 이해
서버 성능에 대한 정의와 이해 version 1.2 (2015년 5월 30일 최종 업데이트)
www.slideshare.net
툴 : 게이틀링, 제이미터, ngrinder
'CS > ETC.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ocalhost && SSL (0) | 2021.12.19 |
---|---|
그누보드, 영카트 (0) | 2021.12.18 |
ServerSideRendering vs. ClientSideRendering (0) | 2021.07.07 |
리눅스 메모리 관리 (0) | 2021.06.26 |
프로세스(Process)와 스레드(Thread) (0) | 2021.06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