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Apache Tomcat 폴더구조
2. webapps
[자바] Tomcat 구조 및 server.xml과 context.xml의 차이
* 톰캣 기본 폴더구조 * Tomcat.../context.xml, server.xml 구조 * context.xml에 대해 1) Context란 - Context 설정은 톰캣에서 구동되는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 자체의 설정을 의미한다. 주요 설정으로 ContextPath,
hamdi.tistory.com
3. server.xml
server.xml 은 톰캣이 실행시 필요한 정보를 정의한 파일이다. 포트 정보, DB 접속정보, 웹 리소스(ex. jsp, image 파일) 참조경로, 이벤트 리스너(event listener) 등을 설정한다.
<Server>는 server.xml의 최상위 컴포넌트
<Listener> 는 톰캣의 이벤트 리스너 정의
<GlobalNamingResources> : JNDI정보, 즉 JDBC와 같은 java-DB 연결정보를 정의
<Service> :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어떻게 처리할지 정의
상세 설정 아래 참고
[웹 설정] 톰캣(tomcat) server.xml 설정하기
참고. tomcat 9.0 기준으로 작성된 포스팅입니다. server.xml 개요 server.xml 은 톰캣이 실행시 필요한 정보를 정의한 파일이다. 포트 정보, DB 접속정보, 웹 리소스(ex. jsp, image 파일) 참조경로, 이벤트 리
makecodework.tistory.com
4. Centos Tomcat 설치
https://hgko1207.github.io/2020/10/12/linux-7/
[CentOS] 아파치 톰캣(Tomcat) 설치 및 사용 방법
리눅스 환경에서 아파치 톰캣 설치 및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아파치 톰캣(Tomcat) 이란 아파치 톰캣(Apache Tomcat)은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개발한 서블릿 컨테이너(또는 웹 컨테
hgko1207.github.io
'DevOps > Docker, Jenkins, Ansible, Terrafor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enkins- DevOps CI/CD (0) | 2024.04.27 |
---|---|
Docker, UFW, IPTABLES 방화벽 (0) | 2023.05.06 |
Terraform 테라폼, 여러 클라우드의 이기종 환경에서 프로비저닝 위함. (0) | 2023.02.05 |
Ansible-Playbook (0) | 2023.02.04 |
CloudFormation (클라우드 포메이션)으로 인프라 관리하기 (0) | 2023.02.02 |